- 클래식
- 대전광역시
대전시립교향악단 챔버시리즈 3 ‘건반 위의 실내악’
장소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작은마당
공연기간
2022.09.02
공연시간
95분(인터미션 15분)
관람연령
8세이상 관람가능
공연시간 정보
예매가능시간: 전일17시(월~토 관람 시)까지/전일 11시(일요일 관람 시)까지
2022. 9. 2.(금) 19:30
공지사항
※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좌석 운영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공연 취소 및 변경
본 공연은 연주자의 사정과 코로나 19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공연의 내용 변경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예매자의 기본 정보에 등록된 핸드폰 번호로 연락을 드리고 있사오니, 예매 전 반드시 핸드폰 번호가 올바르게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잘못된 연락처 입력으로 공연 취소 및 변경에 대한 안내를 받지 못하시는 경우의 불이익은 책임질 수 없음을 양해부탁드립니다.
★ O열은 무대로 사용합니다.
할인정보
- 단체 할인 (20인 이상) 30% (인터파크 고객센터: 1544-1555)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할인(1~3급 / 동반 1인까지): 50%
-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할인 4~6급 (본인만) 50%
- 국가유공자 할인 (동반 1인) 50%
* 증빙 미 지참 시 차액 지불
■ 프로그램 소개
- 슈베르트 _ 아다지오와 론도 콘체르탄테 바장조, 작품 487
F. Schubert(1797~1828) _ Adagio and Rondo Concertante in F Major, D. 487
1. Adagio - attacca
2. Rondo. Allegro vivace
- 베토벤 _ 5중주 내림 마장조, 작품 16
L. van Beethoven(1770~1827) _ Quintet in E♭ Major, Op. 16
1. Grave - Allegro ma non troppo
2. Andante cantabile
3. Rondo. Allegro, ma non troppo
- Intermission -
- 드보르자크 _ 피아노 4중주 제2번, 작품 87
A. Dvo?ak(1841~1904) _ Piano Quartet No. 2, Op. 87
1. Allegro con fuoco
2. Lento
3. Allegro moderato, grazioso - Un pochettino piu mosso
4. Finale. Allegro ma non troppo
■ 출연진 소개
- 객원리더&피아노 _ 박지원
현란한 테크닉과 서정적인 음악성으로 청중들의 사랑을 받는 피아니스트 박지원은 미국 전역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 중이다. 12세에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와 쇼팽 피아노 협주곡 제1번 협연으로 데뷔한 이후, 독주자와 실내악 연주자로 카네기홀, 링컨센터, 머틴홀, 92번가 Y,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예술의전당 등 전 세계 이름 높은 공연장에서 무대에 섰다.
실내악에 각별한 애정을 품고 있는 박지원은 스폴레토 페스티벌 USA, 시애틀 챔버 뮤직 소사이티, 브리지햄턴 챔버 뮤직 페스티벌, 셔터쿼 챔버 뮤직, 레이크 섐플레인 뮤직 페스티벌, 서울 스프링 실내악 축제, 평창 대관령 음악제, 멘체스터 뮤직 페스티벌, 타오스 썸머 뮤직 페스티벌, 노퍽 챔버 뮤직 페스티벌, 에밀리야로마냐 체스티벌(이탈리아), 뮤직알프(프랑스 쿠슈벨), 구사쯔 썸머 뮤직 페스티벌(일본) 등 세계 주요 실내악 축제에 초청 연주하였다. 또한, 2007년 뉴욕 카라무어 국제 음악제에서 ‘라이징 스타’로 선정되었고, 브루클린의 선상음악제 바지뮤직의 정기 연주자로 출연하고 있다.
2012년 플로리다 세인트피터즈버그 칼리지의 팔라듐 챔버 플레이어즈가 창립된 이후 이후 상임 피아니스트로 활동 중이며, 남편인 첼리스트 에드워드 아론과 매사추세츠 클라크 미술관의 실내악 시리즈의 공동 예술감독으로 지난 10년 동안 활동하고 있다.
2021년에는 에올리안 클래식 레이블에서 에드워드 아론과 함께 베토벤과 피아노 작품 전곡 음반을 발매하였으며, 이로 클래시컬 래코팅 재단에서 사무엘 샌더스 협력 아티스트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또한, 그녀의 연주가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와 뉴욕 WQXR 등 주요 클래식 라디오에 다수 방송되었다.
한국에서는 중앙음악콩쿠르, KBS 신인음악콩쿠르 등 한국의 다수 주요 콩쿠르를 석권하였고, 연세대학교를 졸업한 후 2002년에 도미하여 줄리어드 음악원, 예일대학교(졸업시 학장 상 수상)에서 수학하고, 뉴욕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김영호, 허버트 스테신, 클로드 프랑크, 길버트 갈리시를 사사하였고,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